공인중개사 민법 매매계약 정리|법적 성질·성립요건·의무 총정리


매매계약은 민법 채권법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계약으로, 공인중개사 시험에서도 자주 출제되는 핵심 단원입니다. 특히 계약금 계약과 담보책임에서 문제 비중이 높으므로, 매매의 법적 성질과 성립요건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합격비결 기출문제 풀기

매매계약의 법적 성질

매매는 매도인과 매수인이 재화와 금전을 교환하는 계약으로, 다음과 같은 법적 성질을 가집니다.

  • 낙성계약: 당사자 간 합의만으로 성립

  • 쌍무계약: 동시이행항변권·위험부담 발생

  • 유상계약: 대가 관계가 존재

  • 불요식계약: 특정 형식이 필요하지 않음

매매계약의 성립요건

  • 재산권 이전과 대금 지급에 관한 합의만 있으면 성립하며, 처분행위가 아니므로 매도인이 권리자가 아니어도 유효하다.

  • 매매계약에 따른 비용은 매도인과 매수인이 균분하여 부담한다.

매도인의 의무

1. 권리이전의무

  • 재산권 이전을 위해 합의, 인도, 등기 등 실행행위 필요

  • 매수인이 목적물을 온전히 이용·향유할 수 있도록 등기말소까지 이행해야 함(판례)

  • 건물 매도인은 토지이용권까지 마련할 의무가 있음

2. 점유이전의무

  • 매수인에게 목적물 점유를 이전하고 사용·수익할 수 있도록 보장

  • 원칙적으로 목적물 인도를 기준으로 과실 귀속이 결정

3. 과실인도의무


  • 대금 지급이 완료된 경우, 인도 전이라도 매수인에게 과실수취권 인정(판례)

10년치 기출문제 풀기

매수인의 의무

 대금지급의무

  • 지급 시기와 장소는 약정에 따르며, 없으면 민법 규정에 따른다.

  • 일방에 기한이 있는 경우, 상대방의 의무에도 동일한 기한이 적용된다고 추정

  • 목적물 인도와 동시에 대금을 지급해야 하며, 인도 장소에서 지급한다.

  • 인도받지 않은 목적물의 과실은 매도인에게 귀속되고, 매수인은 인도일부터 대금 이자를 지급해야 한다. 다만, 지급기한이 정해진 경우 예외가 있다.

  • 매수한 권리에 전부 또는 일부 상실 위험이 있는 경우, 매수인은 위험 한도 내에서 대금 지급을 거절할 수 있다. 단, 매도인이 상당한 담보를 제공하면 지급 거절 불가. (대금지급거절권)

정리

매매계약은 공인중개사 시험뿐 아니라 실무에서도 빈번히 다루어지는 핵심 주제입니다. 매도인과 매수인의 권리·의무, 대금지급거절권 등 판례까지 숙지하면 고득점에 유리합니다.

👉 2025년 기준 최신 민법 규정과 판례를 반영해 학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