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인중개사 민법의 물권법 중 ‘점유권’ 단원은 매년 2문제 이상 출제되는 필수 영역입니다.
특히 점유의 관념화, 직접점유자·간접점유자 구분, 점유보조자 개념은 시험장에서 헷갈리기 쉬운 부분이죠.
이번 글에서는 핵심 요약 + 기출문제 예시 + 판례 포인트까지 정리하여 한 번에 완성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1. 점유권 파트 출제 경향
-
최근 10년간 총 15문제 출제
-
매년 평균 1.5문제 이상 등장
-
주로 판례 문구 변형, 예외 규정 응용 형태로 출제
-
특히 점유의 관념화, 점유의 종류 점유자와 회복자와의 관계가 고득점 관건
2. 점유의 관념화 개념 정리
점유의 관념화란, 사실상 물건을 지배하지 않아도 법적으로 점유를 인정하거나, 반대로 사실상 지배하더라도 점유로 보지 않는 개념입니다.
| 구분 | 내용 | 예시 |
|---|---|---|
| 사실상 지배 X → 점유 인정 | 법률 규정으로 인정 | 간접점유자, 상속인 |
| 사실상 지배 O → 점유 불인정 | 점유보조자 | 종업원, 관리인 |
💡 대표 사례
-
상속인: 상속 개시 시 자동으로 점유 승계 → 사실상 지배 불필요
-
점유보조자: 물건을 실제로 관리하더라도 법적 점유자 아님
3. 직접점유자·간접점유자·점유보조자 비교
| 구분 | 개념 | 권리 | 예시 |
|---|---|---|---|
| 직접점유자 | 직접 물건을 사실상 지배 | 점유보호청구권 있음 | 임차인, 전세권자 |
| 간접점유자 | 타인의 직접점유를 매개로 점유 | 점유보호청구권 있음 | 임대인, 전세권자 |
| 점유보조자 | 타인의 지휘·감독하에 물건 지배 | 점유보호청구권 없음 (자력구제권만 있음) | 종업원, 관리인 |
4. 기출문제 예시
문제 1
상속 개시 시점에 상속인이 사실상 점유를 하지 않아도 점유권이 인정된다. (O/X)
✅ 정답: O → 상속인의 점유는 대표적인 ‘점유의 관념화’ 사례
문제 2
점유보조자도 점유보호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다. (O/X)
✅ 정답: X → 점유보호청구권 없음, 다만 자력구제권 가능
문제 3
합격비법 기출문제 풀기간접점유가 성립하려면 점유매개자의 직접점유가 필요하다. (O/X)
✅ 정답: O → 직접점유가 전제 조건
5. 관련 판례 핵심 포인트
-
대지 소유자로 등기한 자 → 대지를 인도받아 점유한 것으로 봄
-
건물 소유권 양도 시 → 부지 점유도 상실
-
건물 소유명의자가 아니면 → 부지 점유자로 볼 수 없음
-
매매·양도로 소유권이전등기 시 → 점유 취득 인정
-
소유권보존등기만으로는 → 점유 이전 불인정
6. 점유권 취득·승계·소멸 정리
① 취득
-
직접점유: 원시취득(무주물 선점 등), 승계취득(상속, 합의+인도)
-
간접점유: 점유매개관계 설정 시 성립
② 승계 효과
-
점유 분리·병합 가능
-
상속인은 자신의 점유만 주장 불가
-
전점유자의 하자까지 승계
③ 소멸
-
사실상 지배 상실 시 소멸
-
간접점유는 매개자 점유 상실·관계 단절 시 소멸
7. 공부 팁과 마무리
-
교재 개념만 읽고 넘어가지 말 것 → 표현을 변형한 함정문제 대비 필요
-
기출문제 풀이 후 오답 분석 필수
-
판례 문구 암기는 고득점의 핵심
-
이론 → 기출 → 오답노트의 3단계 학습법이 가장 효과적


